수익형 블로그를 위해 꼭 필요한 건? 읽는 이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글쓰기! 당신은 블로그를 왜 하는지 묻고 싶다. 취미인가? 아니면 아니면 블로그를 통해 조금이라도 수익을 원하는가? 아주 오래전 블로그 초기 시절에는 취미로 시작하신 분들이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네이버 블로그든 티스토리 블로그든 광고를 붙일 수 있고, 모든 sns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게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그러한 만큼 단 한 줄이라도 글을 써야 하는 사람은 마케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필자도 쿠팡 파트너스를 하고 있지만, 생각만큼 전환율이 높지 않다. 스스로는 아주 정성껏 글을 썼다고 생각하지만, 읽는 이에게는 행동을 이끌 무언가를 주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 당신도 의욕적으로 시작했으나 필자와 별 다름없을지도 모르겠다...
김챠차입니다. 오늘은 키워드 두 번째 시간으로 네이버 광고에 키워드 도구로 키워드 검색하는 방법을 알아보려 합니다. 네이버에서 광고를 하고 싶은 광고주들을 위한 시스템이 네이버 광고입니다. 그 사이트에 우리도 당당히 가입해서 어떤 키워드가 얼마만큼 검색이 되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가입만 할 경우는 광고비가 청구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가장 많은 검색을 하는 검색엔진은 네이버입니다. 인터넷 트렌드라는 사이트에서 조회해 보니 올 해만 해도 약 62%가 넘게 네이버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네이버가 구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구글도 네이버의 절반이나 차지할 만큼 빠르게 치고 올라오고 있습니다. 네이버 광고의 키워드 도구 네이버 키워드 조회는 네이버 광고 시스템 내에서 확인 ..
한참 방송에서 자주 방송되던 시서스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필자는 현재 시서스 가루를 꾸준히 먹고 있기 때문에 경험도 말씀드리고자 한다. '하늘이 준 선물'이라는 칭호를 듣고 있는 시서스는 흔히 알려진 다이어트에 대한 효능 뿐만 아니라, 고혈압이나 당뇨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섭취에 있어 주의해야 할 점도 있으니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시서스 원산지 시서서의 원산지는 인도로 더운 열대 지방에서 잘 자란다. 인도 외에도 동남아와 아프리카에서도 재배가 된다. 시서스는 포도과 식물로 덩굴성 형태를 가지고 있다. 담쟁이넝쿨처럼 뻗어나가 관상용으로 집에서 키우기도 한다.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두고 온도는 21~25도, 습도는 평균 40~70% 정도로 유지해 주면 잘 자라는 조건이 된다..
김챠차 입니다. 오늘은 수익형 블로그를 위해 혹은 그냥 블로그 운영에도 꼭 필요한 것 중 하나인 키워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필자도 예전에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할 때는 그저 제 취향껏 쓰고 싶은 글만 썼습니다. 키워드를 찾아보고 분석해 본 적이 없었다는 뜻입니다. 물론 검색에 유리한 제목을 어떻게 써야 할까 고민을 하긴 했습니다. 그렇지만 키워드를 더 세분화해서 제목에 이용했다면 좀 더 많은 유입이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되었거나 저처럼 키워드 활용법을 잘 모르신다면 앞으로 키워드에 대한 포스팅이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이미 이 키워드를 활용하는 것은 광범위하게 퍼졌고, 블로그를 한다면 키워드를 분석하고 최적의 키워드를 사용해서 제목을 뽑을 줄 알..
내 블로그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기 _ 마이크로소프트 빙(bing) 김챠차입니다. 오늘은 검색엔진 등록 5번째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운영하는 빙(Bing)에도 등록해 보겠습니다. 검색엔진 빙에 등록하기 전에 빙이 어떤 검색엔진인지 잠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엔진 빙(Bing) 예전에는 MSN검색, 윈도 라이브 검색, 라이브 검색 등으로 불리었다가 지금은 Bing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Bing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2009년 6월 1일부터 시작한 검색 엔진 서비스 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했던 라이브 검색은 점유율이 매우 낮았고 2008년 인수한 파워서치 기술을 인수하여 기존 라이브 검색과 파워서치 기술을 결합하여 2009년 5월 빙(bing)이라고 이름을 정식 채택하고 6월 1일부터 전세계에 검색..
내 블로그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기 _ 줌(zum) 사이트 검색 도구 김챠차 입니다.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들이 가장 목말라하는 게 무엇일까요? 바로 많은 유입을 원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지난번에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와 구글 서치 콘솔 등록을 해보았습니다. 이번엔 요즘 또 하나의 포털로 성장하고 있는 줌(zum)의 사이트 등록을 알아보겠습니다. 줌(zum) 사이트 검색 등록 먼저 검색창에서 줌 사이트 검색 등록을 검색해 줍니다. 줌은 웹마스터도구라는 명칭 대신 사이트 검색등록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줌 사이트 검색 등록은 매우 간단한 편입니다. 먼저 신규등록을 클릭해 줍니다. 그럼 이렇게 신규등록 페이지가 나옵니다. 자주 사용하는 이메일과 자신이 등록할 사이트나 블로그의 정보를 입력해 줍니다. 현재 이 블..